금융

수출입은행 “‘對중국투자’ 제조업서 서비스·소비재 산업으로”


  • 전근홍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7-08-23 13:32:30

    [베타뉴스 전근홍 기자]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향후 국내기업의 대중 투자 비중을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소비재 관련 산업으로 확대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 해외경제연구소는 ‘우리나라의 對중국 투자 현황과 신창타이 시대 우리의 대응방안’이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중국의 서비스산업과 소비재시장 육성 등 성장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국내 기업도 중국 소비시장 관련 업종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고급 생활가전 및 패션·화장품 등 최종 소비재 관련 판매·유통기능 강화를 위한 도소매업 등에 대한 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또 중국의 서비스시장 개방에 대응하여 환경·금융·엔터테인먼트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 확대를 역설했다.

    한국의 대중 투자는 1992년 수교당시 연 1.4억 달러 규모에서 2016년 33억달러로 24배 증가했다. 이 규모는 지난해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액인 350억달러의 9.4%에 해당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비중이 73%로 가장 높았고, 지역별로는 베이징, 천진, 상해 등 동부 연해지역(85%)에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중 수교 당시에는 전자부품, 섬유 등 저부가가치 노동집약적 업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글로벌 분업 생산 확대에 따라 자동차, 전기전자 등 자본집약적 업종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다.

    수출입은행 한 관계자는 “중국이 경제구조의 고도화 및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강조하면서 성장의 동력을 서비스업과 소비재산업 육성에서 찾고 있다”면서 “우리기업도 기존의 제조업·가공무역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나 고부가 서비스업 등으로 대중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베타뉴스 전근홍 (jgh2174@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730040?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