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

‘태영건설과 선 긋기’ 롯데·동부건설, PF 유발채무 관리 문제없다


  • 권이민수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4-01-05 14:35:00

    ©연합뉴스

    [베타뉴스=권이민수 기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사태로 건설사들을 향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유동성 상황을 설명하는 자료를 내며 선제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4일 "올해 1분기 만기가 도래하는 미착공PF 3.2조원 중 2.4조원은 1월 내 시중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본PF 전환 시점까지 장기 조달구조로 연장하고, 8천억원은 1분기내 본PF 전환 등으로 PF우발채무를 해소할 예정"이라며 "미착공PF로 언급된 3.2조 중 서울ㆍ수도권 사업장은 1.6조원(50%) 규모이며, 지방 사업장은 1.6조원(50%) 규모다. 지방 사업장의 경우에도 해운대 센텀 등 도심지에 위치해 분양성이 우수한 사업장이기 때문에 분양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롯데건설은 현재까지 1.6조원의 PF우발채무를 줄였고, 전년말대비 차입금 1.1조원 및 부채비율 30% 이상을 감소시켰다. 또한, 롯데건설은 현재 현금성 자산을 2조원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은 1.8조원으로 대부분 연장협의가 완료됐고, 일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도 1.6조원의 우발채무를 줄여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보할 계획이다.

    동부건설은 5일 "일부 증권사에서 내놓은 리스크 의견에 대해 문제가 없다"며 "지난해 4분기 3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해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PF 우발채무 규모도 매우 낮아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동부건설은 "3분기 기준 현금성 자산이 일부 감소한 것은 금융 비용 절감을 위해 만기가 도래한 높은 금리의 채무증권 상환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3분기 연결 기준 순 차입금 4800억원 중 약 3500억원이 LH 공공택지 매입을 위한 토지분양대금 반환채권 담보대출로 사실상 국가 등급의 신용도를 가진 채권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없고 지난해 4분기에 약 220억원을 상환해 차입금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게 동부건설 측의 입장이다.

    동부건설은 "지난 4분기 기준 해외 현장의 공사대금과 준공 현장 수금, 대여금 회수 등으로 약 3000억원의 유동성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 향후 낮은 금리의 사업자금 대출은 예정대로 실행하는 한편, 높은 금리의 운영자금을 지속적으로 상환함으로써 이자비용과 채무 상환 부담을 줄여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동부건설 관계자는 "최근 PF로 인한 악재 발생으로 전반적인 건설업계에 대해 시장에서 촉각을 곤두세우며 부정적인 전망이 이어지는 가운데, 자칫 과도한 확대 해석과 루머 양산으로 다른 기업의 2차 피해 우려가 있다"며 "현재 유동성 확보와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타뉴스 권이민수 기자 (minsoo@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56415?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