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연세대 홍진기 교수팀, 잇몸·뼈 동시 재생 돕는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개발


  • 강규수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3-12-01 23:12:51

    ▲2023.12.01-연세대 홍진기 교수팀, 잇몸·뼈 동시 재생 돕는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개발 [표]=논문에 게재된 표.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홍진기 교수와 치과대학 최성환, 차재국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 잇몸과 뼈의 재생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차폐막(Occlusive Membrane, 이하 멤브레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치아 손실과 발치 또는 임플란트 후 잇몸과 뼈를 구분해 각 조직을 선택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해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을 사용한다.

    골유도재생술의 핵심은 뼈세포 이외의 세포가 결손 부위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해 뼈세포만 증식될 수 있도록 조직 재생의 경계면에 차단막인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입안에 공생하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멤브레인을 보강하기 위해 미생물 오염을 치아 최 외각층인 에나멜(Enamel)에서 방어한다는 점을 이용해 에나멜의 고밀도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이 포함된 멤브레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멤브레인을 활용해 감염된 구강 조직에 골유도재생술을 적용한 결과, 잇몸과 뼈를 동시에 재생시키는 이상적인 성과를 동물 시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연조직과 경조직을 성공적으로 재생하는데 새롭게 개발한 멤브레인 기술이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건강한 미생물 환경이 인체 조직 재생에 핵심 요소임을 밝혔다.

    ▲2023.12.01-연세대 홍진기 교수팀, 잇몸·뼈 동시 재생 돕는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개발 [사진]=왼쪽으로부터, 연세대 홍진기 교수, 최성환 교수, 차재국 교수, 최우진 박사과정생(공동 제1저자), Mangal Utkarsh 박사(공동 제1저자). ©연세대학교

    연세대 홍진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생물학적 마이크로바이옴 분석과 공학적 재료 설계를 융합해 수산화인회석의 신규 생체 활성 기능을 최초로 발견한 우수한 융합 연구 결과물”이라고 평가하며, “미생물 정상화를 통해 재생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상태가 악화된 환자 혹은 고령 환자에게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돼 연세대 치과대학 병원과 임상 연구를 기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한국산업기술평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과 연세대 IPY 지식융합 Seed Grant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16.6)에 11월 24일 게재됐다.

    게재된 제목은 “Occlusive membranes for guided regeneration of inflamed tissue defects”이다.


    베타뉴스 강규수 기자 ()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53685?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