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07-28 16:36:42
태국, 말레이시아,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 가계부채가 급증하며 세계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계부채란 가계 부문이 안고 있는 금융 기관 등의 채무를 의미하며 주택, 자동차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신문에 따르면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자동차와 주택 붐으로 채무가 늘면서 상환 부담이 소비 욕구를 억제하고 있다.
태국의 경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70%에 육박해 유로존(58%)이나 일본(58%) 등 선진국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매체는 주 원인을 자동차 대출로 보고 있다. 자동차 산업 장려를 위해 정부가 세금 우대 등 신차 구입 지원 정책을 내놨는데 그 결과, 부채가 증가하고 개인 소비를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태국 아유타야 은행 관계자는 "태국 정부가 2011년 내놓은 자동차 구입 지원책으로 가계채무가 늘었고 구조적으로 소비가 억제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정부가 주택 구입 장려책을 시행하면서 주택 담보 대출이 늘고 있다. 대출 금리의 지표가 되는 금리는 3%로, 가계를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은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일본의 버블 시기 수준으로 상승, 태국처럼 소비 욕구가 줄기 시작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중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53%. 리먼 위기 이전과 비교하면 증가폭은 34%포인트로 주요국 중 최고치다.
중국은 성장률을 늘리려는 정부의 의도로 집값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 이 신문은 광둥성 선전의 주택 가격을 연봉으로 나눈 비율은 무려 34배라고 전했다.
연봉은 500만 엔(약 5,450만 2,500 원)인데 반해 집값은 1억 7천만 엔(약 18억 5,308만 5,000 원) 상당이라는 것이다.
이는 일본의 6.3배, 미국의 5.7배에 달하는 수치다. 상하이 역시 1억 엔(약 10억 9,005만 원)을 훌쩍 넘는 아파트를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즉, 거액의 대출을 안고 있는 가계는 소비를 최소화할 수 밖에 없다.
이 신문은 미국 정부가 이달 말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신흥국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단기적으로는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채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43개국의 총 가계부채는 지난해 말 46조 달러(약 5만4,487조 원)로 이들 국가들의 GDP 대비 60%에 이른다.
세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리먼 위기 이후 신흥국과 선진국이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리먼 위기 전과 비교하면 신흥국은 23%에서 40%로 높아졌고, 선진국은 82%에서 72%로 줄었다. 중국은 34%포인트 늘었고, 미국은 22%포인트 감소했다.
베타뉴스 조은주 (eunjoo@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
- 목록
- 위로